전체 글 (6)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린코드 - 주석 (2) 이번엔 주석을 어떻게 명확하고 간결하게 다는지 살펴볼 것이다. 좋은 주석은 짧은 문장에 많은 정보를 가져야 한다. 1. 주석을 간결하게 하라 1줄으로 설명 가능한 것을 3줄으로 길게 쓰면서 허비하지 마라. 2. 모호한 대명사를 피하라 '위의', '아래의', '지난 버전' 등등의 대명사는 보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를 떠올릴 수 있고, 정확한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주석내에서 대명사를 쓸때는 대명사의 의미가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는 문장에서 사용하거나, '위 saveMyName() 함수에서' 와 같이 명확한 대상을 가르켜야 한다. 3. 문장을 다듬어라 '이 URL을 전에 방문했는지에 따라서 다른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이 문장은 해석 가능하지만 아래 문장을 살펴보자. '전에 방문하지 .. #클린코드 - 주석 (1) 주석 주석의 목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프로그래머가 생각하는 주석의 목적이 무엇일까? ‘단순히 아래 나와 있는 코드에 대한 설명’ ‘나중에 설명하기 귀찮으니 써놓는 것’ ‘나쁜 코드를 가리기 위한 변명’ 등등 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코드에 주석을 쓰고 있다. 최근 클린 코드에 관한 책을 읽으며 ’주석의 목적은 코드를 읽는 사람이 코드를 작성한 사람만큼 코드를 잘 이해하게 돕는데 있다‘ 라는 문구를 보았다. 이러한 개념에 대해서는 당연히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해야 좋은 주석을 작성하고 사람들을 이해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생각은 깊게 해보지 않았다. 오늘은 어떤 주석이 좋은 주석이며 어떤 주석을 작성하지 말아야 할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설명하지 말아야 하는 것 //유저 Id를 가져오는 함수 c.. 리팩터링 #1 최근 회사에서 리팩터링에 대한 업무를 맡게 되면서 리팩터링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런 저런 것들을 찾아 보던 중 마틴 파울러의 리팩터링 2판을 보며 공부를 하기로 하였고, 내용을 정리 및 회고하기 위해 챕터 하나를 끝낼 때 마다 블로그에 글을 쓰기로 하였다. 리팩토링? 그래서 리팩토링 이란 무엇인가? 나는 지금 리팩토링 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기능의 추가 혹은 유지보수를 위해 코드를 개선하는 것' 정도의 개념만 가지고 있다. 들어가며 우선 이책의 첫번째 장에서는 앞으로 나올 리팩터링 기법을 적용하는 간단한 예시와 개념들을 설명해주고 있다. 이 장을 읽으며 기억에 남았던 부분을 살짝 정리해보면 1. 리팩터링을 하기 전에 항상 제대로된 테스트 부터 마련하라. 2. 리팩터링은 수정을 작은 단계로 나.. [React] 3. Component란? 이번엔 React의 특징 중 하나인 Component 기반에 대해 알아보자. Component란?? 컴포넌트란 프로그래밍에 있어 재사용 가능한 각각의 독립된 모듈을 뜻한다. 컴포넌트를 사용하게 되면 코드의 재사용이 쉽고 단위 테스트가 용이하며 디버깅이 쉬워지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React에서는 Component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React에서는 컴포넌트를 컴포넌트를 통해 UI를 재사용 가능한 개별적인 여러 조각으로 나누고, 각 조각을 개별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개념적으로 컴포넌트는 JavaScript 함수와 유사합니다. “props”라고 하는 임의의 입력을 받은 후, 화면에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기술하는 React 엘리먼트를 반환합니다. 이라고 표현하였다. 즉, .. [React] 2. Virtual DOM 이전 포스팅에서 React는 선언형이라는 것을 알아보았다. 개발자가 UI를 작성하고 React에 전달하게 되면 이후 렌더링 및 관리를 React에서 책임을 지게 된다는 내용이 등장했었다. 이 과정중 데이터가 변경 되었을때 React가 어떻게 뷰를 변경하는지 알아보자. Virtual DOM이란? 리액트 공식문서에는 Virtual DOM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Virtual DOM (VDOM)은 UI의 이상적인 또는 “가상”적인 표현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제” DOM과 동기화하는 프로그래밍 개념 Virtual DOM은 React에서 데이터의 변경이나 유저와의 상호작용 등을 통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 때 가상의 DOM( DOM을 흉내낸 JavaScript 객.. [React] 1. 선언형 어느덧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일한 지 만 3년 되었다.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퇴사를 하고 이직을 준비하며 지난 3년간 가장 많이 써온 프레임워크인 React와 JavaScript라는 언어에 대해 내가 얼마나 이해하고 알고 있는지 스스로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되었다. 많은 프로젝트를 하고 서비스 런칭을 하면서 과연 내가 얼마나 React라는 것을 잘 사용했는지 생각을 해보니 그렇지 못했던 것 같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를 통해 React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을 하는지 깊이 파헤쳐보고 싶어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다. React란 무엇인가? React는 웹 프레임워크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하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리액트는 페이스북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Jordan Walke가 .. 이전 1 다음